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산부 다태아 쌍둥이출산 수유부 영양관리법

by 예뀨림 2022. 12.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영양사 예뀨/몽입니다.

오늘은 임신부 다태아출산부 수유부 영양관리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임신출산수유부 영양 균형의 중요성


임신기때 영양불량은 태반 기능의 저하로 인해 태아에게 산소와 영양소 이동을 방해하고

일부 독성물질을 전달함으로서 태아의 성장 부진이나 기형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올바른 영양균형을 유지함으로서 빈혈 등 임신중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고,

출산 후에는 산모의 회복을 도우며 충분한 모유 생성으로 아기의 건강과 성장에 도움을 주기때문에

적절한 영양균형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출산수유부의 영양관리, 지도방법

  • 임신 초기(14주 이전) : 균형 잡힌 영양섭취, 엽산 섭취

-임신 초기 태아 기관 형성 등을 고려한 균형 잡힌 영양섭취가 중요한 시기이므로 전반적인 식사량의 증가보다는 다양한 음식섭취를 통해 고른 영양소를 섭취합니다.

-우선 태아의 원활한 세포 분열 및 기관 형성을 돕기 위해 임신 초기부터 양질의 단백질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고기/생선/달걀/콩류로 된 반찬 1~2가지는 매끼니 반드시 포함된 식사를 하세요.

-엽산은 세포분열이 많이 일어나는 임신기와 수유기에 필요량이 증가하며, 임신 초기에 엽산이 부족하면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매끼 엽산이 풍부한 식품인 푸른잎채소, 시금치 등을 꼭 섭취하세요.

-혹여나 음식을 통한 엽산섭취가 어려울 경우, 엽산제나 엽산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여 보충해주도록 해주세요.

 

  • 임신 중기(14주 ~ 28주) : 충분한 칼슘과 철분 섭취

-중기 이후부터는 임신 초기에 비해 1일 340Kcal의 추가 열량 섭취가 권장되므로, 섭취량(에너지)을 늘려주세요.

-초기와 마찬가지로 매끼 고기/생선/달걀/콩류로 된 반찬을 1~2가지, 다양한 채소반찬 2~3가지를 포함시켜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지속되는 입덧으로 한끼에 식사량이 충분하지 않을때 정규식사 이외에 1~2회의 추가 간식을 섭취하세요.

-임신부의 칼슘 섭취가 낮으면 태아의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모체의 축적된 칼슘이 사용되고, 잦은 임신, 임신 수유기 동안 칼슘의 부적절한 섭취는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 시기에는 칼슘이 풍부한 우유와 유제품류를 섭취해주세요.

-임신 중 태반의 형성이나 태아와 모체의 헤모글로빈 생성 또는 분만시의 출혈 등으로 인해 다량의 철이 손실된만큼 철이 필요합니다. 양질의 철 급원식품으로는 붉은 살 육류, 간, 달걀, 살코기 등이 있으며 식품을 통한 섭취만으로 필요량만큼 섭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철 영양제, 철분 건강기능식품을 통해 철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 임신 후기(28주 이후 ~40주): 추가 열량 섭취

-임신 후기에는 1일 450Kcal의 추가 열량 섭취가 늘어납니다. 늘어난 영양요구량은 조금씩 자주먹으면서 간식으로 보충합니다.

  • 다태아 임신부: 추가 열량 섭취

-다태아 임신부는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지방 등의 모든 영양소가 단태아 임신부보다 더 필요합니다. 단태아 임신부는 임신 전에 비해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열량이 340Kcal 정도이나 다태아 임신부는 약 600Kcal 정도입니다. 단순히 칼로리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양질의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해야하며, 철의 필요량도 증가되어 다태아 임신부는 60~100mg 보충이 필요합니다. 필요에 따라 철 영양제, 철분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식사 구성시 한 번에 많은 식사를 하기 보다는 여러 번으로 나누어 식사를 하고, 빈 열량식품(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의 섭취를 제한합니다.

  • 출산수유부

-수유부는 1일 340Kcal의 추가 열량 섭취가 권장되므로, 섭취량(에너지)을 늘려주세요.

-출산수유부는 육아와 가사를 함께 하기 때문에 자신의 식사와 간식을 준비할 시간이 적거나 신경을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모유수유로 인해 영양필요량이 증가하므로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식사/간식을 활용하세요.

-수유부의 건강유지와 모유분비 촉진을 위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고 숙면을 취합니다.

-모유수유를 위해 1~1.5L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간식 식사
과일, 우유, 치즈, 요거트, 달걀후라이, 삶은 달걀, 시리얼, 샐러드 등 견과류, 떡, 샌드위치, 김밥, 시리얼, 비빔밥, 선식, 으깬 감자 등

 

 

 

  • 조제유 수유부

-모유수유에 따른 열량손실, 에너지 손실이 없으므로 임신 전 성인 여성 식사와 동일하게 식사합니다.

 

 

 

 

 

 

반응형

댓글